|
손톱은 피부 표면의 각질층이 변화한 것으로 우리몸의 생물정보가 모두 들어 있기 때문에 인체의 건강상태를 진단할 수 있는 좋은 척도가 되기도 한다. 손톱의 주성분은 케라틴이라 불리는 단백질로 건강한 손톱을 위해서는 양질의 단백질 섭취는 필수적이다. 그러나 단백질 결핍과 상관없이 신체에 질병이 있어도 손톱이 비정상적으로 보이며 성장 자체가 불완전해질 수 있다. 건강한 손톱은 부드럽고 광택이 나며 투명한 분홍색을 띠지만 신체에 이상이 생기면 비정상적으로 변하며 불완전한 성장을 한다. 만약 손톱색이 갑작스레 변한다거나 줄무늬가 생긴다거나 모양이 일그러진다면 혹시 무슨 병이 있는 것은 아닌지 의심해 보아야 한다. | ||||
|
![]() 손톱은 밑에서 끝까지 자라는데 어른의 경우, 4개월 정도가 걸리는데 젊어서는 달걀형태에 가깝다가 중년에 이르러서는 네모꼴 모양에 가깝게 형태가 변하는 것이 보통이다. 달걀형 손톱을 가진 사람은 화려함을 추구하는 경향이 강하고 사치와 낭비의 습성이 강하다고 본다. 예능이나 패션 쪽에 흥미를 보이는 경우가 많고 여자의 경우 가사에는 별로 소질이 없겠다. 네모진 손톱을 가진 사람은 상식적인 사고와 실용적인 처세를 지닌 사람이 많다. 사무적인 일에 능숙하고 합리적인 일처리가 돋보인다. 성품이 완고한 구석이 있으며 대개 정력이 센 것이 특징이다. | |
![]() |
![]() 반달형태의 손톱을 가진 사람은 낭만적인 기질이 소유자가 많다. 헌신적이면서 동정심이 강한 것이 특징이다. 젊어서는 연애지상주의가 되기도 하겠다. 상상이나 공상을 좋아하고 무드에 약한 경향을 보인다. 오장육부 중에서 비장이 약한 경우가 많다. 역삼각형 모양의 손톱을 가진 사람은 신경질적이며 갈피를 잡기 어려운 사람이 많다. 고집이 세고 처세가 부드러운 맛이 적다. 여자의 경우에는 연하의 남자나 나이차이가 많이 나는 연상의 남자를 사모하게 되는 경우도 보게 된다. 기관지, 호흡기질환, 중풍에 걸리기 쉽다. |
![]() |
![]() 길고 좁은 모양의 손톱을 가진 사람은 섬세하고 감성적인 면이 발달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종교와 신비적인 것에 끌리고 예술에도 관심이 많다. 그러나 기력이 약하고 살림살이에는 별로 능하지 못하다. 직사각형의 손톱을 가진 사람은 손재주가 있는 사람이다. 기계나 기술 방면에 소질을 보이는 경우가 많다. 성격은 급하고 다혈질적인 면이 있어 불합리하다 싶으면 윗사람에게도 대드는 경향이 있다. |
![]() |
![]() 손톱에 줄무늬나 고랑이 있는 것은 곧 건강의 적신호임을 나타낸다. 손톱에 세로골이 있는 것은 심장이나 혈관, 혈액 질환과 같은 순환기 계통에 이상이 있음을 말해주는 것이다. 비타민결핍이나 신경계통의 이상을 의심해볼 수도 있을 것이다. 손톱에 가로로 파인 자국이 생기는 것은 심장에 충격(쇼크)을 받았을 때 나타나는 현상이다. 급성 심근경색이 발생했을 때 나타나는 현상이다. 홍역을 앓았거나 고열에 시달린 흔적을 나타내기도 한다. 체내 아연질이 부족해도 가로줄이 생길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건강상 이상반응이 일어났을 때 일시적으로 손톱 성장이 중단되면서 가로줄이 생기는 것이다. |
![]() |
![]() 손톱의 반월문은 조반월이라고도 하고 그냥 속손톱이라고도 한다. 이 반월문은 손톱길이의 1/5이 정상이며 모든 손가락에 나타나는 것이 건강한 손톱이다. 반월문이 정상에 비해 너무 크면 심장의 과도한 압박이나 뇌수, 혈관의 이상을 의심해볼 필요가 있다. 반월문이 전체 손톱의 1/3 이상이면 기절상태에 이를 수도 있다. 반월문이 빈약한 경우에는 심장기능이 미약하다는 증거이다. 또한 뇌빈혈 증상을 의심해볼 수도 있겠다. 반월문이 거의 없는 사람도 꾸준하게 걷기 운동을 하게 되면 다시 나타나게 되는 경우를 볼 수 있다. |
![]() |
|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살빼기위해 알고시작해야할 상식들 (0) | 2008.01.13 |
---|---|
건강에 끝내주는 "초란" 만드는 방법(동영상) (0) | 2008.01.13 |
탈장에 관한 완벽 정보 (0) | 2008.01.06 |
우리가 알아야 할 암에 대한 기초 상식 (0) | 2008.01.05 |
두통 - 눈피로 풀어주는 지압법 (0) | 2007.12.27 |